page. [1] [2] [3] [4] [5] [6] [7] [8] [9] [10] [11] [12] [13] [14] [15]

BEM CSS 명명법

B : block

E : element

M : modifier

장점

CSS Logical Properties

정의

CSS Logical Properties는 웹 페이지의 **글쓰기 방향(writing mode)**과 **텍스트 흐름(directionality)**에 따라 동적으로 적용 위치가 달라지는 CSS 속성들을 말합니다.

기존의 margin-left, padding-top 같은 물리적 위치 기반 속성 대신, margin-inline-start, padding-block-end 같은 논리적 방향 속성을 사용함으로써 다국어 지원, 레이아웃 유연성, 반응형 디자인에 더 유리해집니다.

용어설명

구분 의미 예시
inline 텍스트가 흐르는 방향 (예: 좌→우 또는 우→좌) margin-inline-start
block 줄이 쌓이는 방향 (예: 위→아래 또는 아래→위) padding-block-end
start/end 시작과 끝 (언어 및 writing-mode에 따라 달라짐) inset-inline-end

작동 예시

/* 좌→우(ltr) 언어 기준 */
writing-mode: horizontal-tb;
padding-inline-start: 20px;  /* → 왼쪽 padding 적용 */

/* 우→좌(rtl) 언어 기준 */
direction: rtl;
padding-inline-start: 20px;  /* → 오른쪽 padding 적용 */

CSS nesting(중첩 css) 사용방법

정의

CSS Nesting은 CSS에서 계층적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자들을 중첩해서 작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문법이야.

기존에는 SCSS나 Sass에서만 가능했지만, 이제는 CSS 표준으로 일부 브라우저에서 지원되기 시작했어.

⇒ CSS Nesting은 선택자 안에 다른 선택자를 중첩해 작성할 수 있는 CSS의 최신 기능

기본 문법 (CSS Nesting 방식) 예시

.card {
  padding: 1rem;

  & .title {
    font-weight: bold;
  }

  &:hover {
    background-color: #eee;
  }
}

주의할 점

/* ❌ 이렇게는 안 됨 (불명확함) */
.container {
  .item { color: red; } 
}

/* ✅ 이렇게 해야 함 */
.container {
  & .item { color: red; }
}


SASS 개요

등장배경



mixin 사용법 - 매개변수

https://codepen.io/pjbfkwvv-the-animator/pen/xbGvYpd?editors=01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