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. [1] [2] [3] [4] [5] [6] [7] [8] [9] [10] [11] [12] [13] [14] [15]

22일차

1. typeof 함수

var a = 1==1;
var typeOfA = typeof(a);
	console.log("typeOfA : " + typeOgA);// => "typeOfA : boolean" 이렇게 표출
	
var b = "text";
var typeOfB = typeof(b);
	console.log("typeOfB : " + typeOgB);// => "typeOfB : string" 이렇게 표출
	
var c = 123;
var typeOfC = typeof(c);
	console.log("typeOfC : " + typeOgC);// => "typeOfC : number" 이렇게 표출

2. return 함수

console.clear();

function a(){
   console.log(10); // 실행하는 함수
}

var b = a(); // b 에다가 실행하는 함수를 넣는다??
console.log(b); // a 함수 값을 출력하고 싶지만, 실행 파일 자체를 출력할 수는 없기 때문에 출력불가 undefined 로 표기 된다.

//console.log() 는 어떠한 값이 아니다.
// 여기서 어떠한 값을 출력했으면 좋겠다 할 때 쓰는 것이 return 함수이다.
console.clear();

function a(){
   console.log(10);
   
   return 10;  // return 이 있어서 function 함수 작동 후 리턴 10이라는 값이 남는다.
}

var b = a(); // 위 return 이 없었다면 함수만 실행하고 값이 없기 때문에 undefine 이 뜬다
console.log(b); // 출력 값 10, 어떤 인자 값이 있어도 return 값만 집중하면 된다.

3. 배열

//첫 번째 방법 push
console.log("배열을 만드는 방법 v1");
var ages1 = []; // 배열 []
ages1.push(10); //배열에 값 넣는 방법
console.log("ages1 = "+ages1); // =>"ages1 = 10"
ages1.push(20);
console.log("ages2 = "+ages1); // =>"ages2 = 10, 20"
ages1.push(30);
console.log("ages3 = "+ages1); // =>"ages3 = 10, 20, 30"
console.log(ages1); // => // [object Array] (3)[10,20,30]
ages1.unshift(60); // 새치기 배열의 앞에 들어간다.
ages1.unshift(50);
console.log(ages1);

//두 번째 방법 index
console.log("배열을 만드는 방법 v2");
var ages2 =[];
ages2[0] =10 ;
// []안에 번호를 index 라고 부름 ex) 0번 인덱스 ~ 1번 인덱스
ages2[1] =20 ;
ages2[2] =30 ;
ages2.push(50); // 이렇게 넣으면 3번 index에 50이 채워지고
ages2[3] =40 ;   // 여기에서 다시 40으로 덮어지면서 3번 인덱스 값은 40이 된다.
console.log(ages2);

//세 번째 방법
console.log("배열을 만드는 방법 v3");
var ages3= [10, 20, 30];
ages3.push(40);
console.log(ages3);
console.log(ages3[2]); // => 값 30 추출 
// 배열을 앞에서부터 0번 인덱스로 부르는데 그 중 2번 인덱스 값을 추출하는 방법

let length = ages3.length; // 길이 (length) 변수 정의
console.log(ages3, length); // 배열의 길이 추출 => [10,20,30,40] 4
console.log(ages3.length); // => 4
console.log(length); // => 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