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를 지정할 때 타입을 적어줘야함
** 재선언 var x = 5; // 재할당 x=10
*** 무조건 어떤걸 써야한다 라는 규칙은 없다.
변수에는 오직 값을 하나만 정의할 수 있음
변수는 등호 ‘=’ 왼쪽에 있을 때만 변수라고 하고 그 이후부터는 값 취급한다.(값을 가지면 값 취급)
변수는 메모리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그 공간에 어떠한 값을 넣었다고 생각하면 된다.
var x =’안녕’ , var y=5 일 때 변수 출력
console.log(x+y); ⇒ 안녕5 = 텍스트와 숫자를 같이 쓸 때는 무조건 + 필요
console.log(y+10); ⇒ 15
** x 값이 안녕으로 텍스트 임으로 뒤에 숫자 y 값을 텍스트로 변환 시킨 후 더해져서 안녕5가 나온다.
console.log(x+y*3); ⇒ 안녕15
** 사칙연산 우선순위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5*3 이 우선 계산 된 후 텍스트로 치환되어 값이 출력된다.